1. 공통체크 list
· per 같은 업종의 비슷한 회사에 비해서 이 회사의 per이 높은 가 낮은가?
· 기관투자자의 보유 비중은? (보유 비중이 작을수록 좋다.)
· 내부자들이 매입하고 있으며, 회사가 자사주를 매입하고 있는가? (둘 다 긍정적인 신호다.)
· 지금까지 이익 성장 실적은 어떠한가? 이익은 단발성인가, 지속성인가?
· 회사의 재무상태표가 건전한가, 취약한가? 재무건전성 등급은?
· 현금 보유량은 얼마인가? . (주당 현금이 16달러라면, 이 주식은 16달러 밑으로는 떨어지기 힘들다. 16달러가 이 주식의 바닥이다.)
2. 저성장주 체크list (저성장주는 배당이 중요하다. 배당이 아니라면 보유할 이유가 없다.)
· 배당이 항상 지급되었는지가? 그렇다면 꾸준하게 증가했는가?
· 가급적이면 배당이 이익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얼마인가? (비중이 작은 것이 좋다.)
3. 대형우량주 체크list
· 이들은 좀처럼 망하지 않을 대기업들이다. 주요 관심사는 주가인데, per을 보면 비싼지 아닌지를 판단 할 수 있다.
· 사업다악화로 장차 이익이 감소할 가능성이 있는가?
· 회사의 장기 성장률은 얼마나 되는가? (최근 몇 년 동안 동일한 탄력을 유지하고 있는지도 점검하라.)
· 이 주식을 영원히 보유할 계획이라면, 이전 침체기와 시장 폭락 때 실적이 어떠했는지 확인하라.
4. 경기순환주
· 재고를 계속 자세히 지켜보고, 수요-공급 관계도 살펴보라.
· 시장에 새로 진입하는 기업이 있는가? (이는 대개 위험 신호다.)
· 경기가 회복되면 점차 per이 내려간다고 예상하라. 투자자들이 경기가 막바지에 이르렀다고 내다볼 때, 회사의 이익이 최대치에 이른다
· 투자한 경기순환주를 잘 알면 경기순환을 파악하는 데 유리하다. 경기순환 업종에서는 하강 시점보다는 상승 시점을 예측하는 편이 훨씬 쉽다.
5. 고성장주
· 유망 제품이 그 회사의 사업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높은가?
· 최근 몇 년 동안 이익성장률이 얼마였는가? (25%가 넘는 기업은 경계한다)
· 회사의 확장능력 확인, 2개 도시 이상에서 성공 공식을 복제해서 매장 운영에 성공해야 한다. (우리나라도 해당될까? )
· 회사가 성장할 여지가 남아 있어야 한다.
· per이 성장률과 비슷한 수준인가?
· 확장 속도가 빨라지고 있는가? 느려지고 있는가?
6. 회생주
· 채권자들이 자금을 회수해도 회사가 생존할 수 있는지가 가장 중요하다.
· 이 회사가 보유한 현금이 얼마인가?
· 부채가 얼마인가?
· 부채구조는 어떠한가? 문제해결하는 동안 얼마나 오랫동안 적자 영업을 버텨낼 수 있는가?
· 이미 파산했다면, 주주들에게 남은 몫은 얼마인가?
· 회사가 어떤 방법으로 회생할 계획인가?
· 무수익 사업을 처분했는가? (두산이 무수익 사업을 처분하면서(자의는 아닌걸로 알지만) 재무재표가 좋아진걸로 앎)
· 이 사업이 회복되는가?
· 원가가 절감되고 있는가? 그렇다면 그 효과는 어떤가?
7. 자산주
· 자산의 가치가 얼마인가? 숨은 자산이 있는가?
· 위 자산에서 차감해야 하는 부채가 얼마인가?
· 회사가 새로 부채를 일으켜서 자산의 가치를 떨어뜨리는가?
· 주주들이 자산에서 이익을 얻오록 도와주는 기업사냥꾼이 대기하고 있는가?
참고자료 : 월가의 영웅